보안관제란?

  • 보안관제는 기업이나 조직의 정보, 기술, IT 자산을 해킹이나 바이러스 등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수행되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이다.
  • 보안관제의 주요 목표는 보안 위협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며, 장기적으로는 보안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
  • 보안관제는 보안관제센터(SOC: Security Operations Center)에서 24시간 교대 근무 체제로 운영된다.

수행 원칙 3가지:

  • 무중단: 보안관제는 24시간 무중단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어떤 상황에서도 시스템의 가용성과 보안을 유지해야 한다.
  • 전문성: 보안관제는 고도로 전문화된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수적이다.
  • 정보 공유: 보안 사고 발생 시, 관련된 모든 부서와 정보를 신속히 공유하여 공동 대응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출처:https://www.boannews.com/media/upFiles2/2023/08/925284394_241.jpg



보안관제 업무 절차

보안관제 업무 절차는 예방, 탐지, 대응, 보고, 공유 및 개선의 다섯 단계로 이루어진다.

  1. 예방 (Prevention):
    • 보안 위협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 이는 보안 정책 수립, 취약점 점검 및 패치 적용, 사용자 교육, 방화벽 및 침입 방지 시스템 설정 등을 포함한다.
  2. 탐지 (Detection):
    •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및 시스템 로그를 모니터링하여 보안 이벤트를 탐지하고,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즉시 분석하여 위협 여부를 판단한다.
  3. 대응 (Response):
    • 탐지된 위협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한다. 공격이 확인된 경우, 시스템을 격리하거나 악성 코드를 제거하며, 네트워크 트래픽을 차단하는 등의 조치를 취한다.
  4. 보고 (Reporting):
    • 보안 사고와 대응 과정에 대해 상세한 보고서를 작성하여 내부적으로 공유하고, 필요 시 외부 관계자에게 보고한다.
  5. 공유 및 개선 (Sharing & Improvement):
    • 사고 이후, 관련 정보를 조직 내외부에 공유하고, 사고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보안 정책과 절차를 개선한다. 추가적인 보안 테스트와 모의 훈련을 통해 보안 수준을 강화한다.

출처:https://cdn.prod.website-files.com/65f40252d97e8a476f9d7ad2/660ad15c4f965f687860e0dc_Control-tab02-img01.webp

 

보안관제의 유형 및 특징

보안관제는 주로 온프레미스클라우드 두 가지 환경에서 이루어지며, 각각의 환경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

온프레미스(On-Premise)

온프레미스 보안관제는 조직의 물리적인 인프라 내부에서 이루어지며,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구분된다:

  1. 원격관제 (Remote Monitoring):
    • 보안관제센터에서 원격으로 고객사의 IT 자산을 모니터링하고, 보안 이벤트를 탐지하고 대응한다. 이 방식은 고객사의 현장에 보안 전문가가 상주하지 않아도 되며, 경제적으로 효율적일 수 있다.
  2. 파견관제 (Onsite Monitoring):
    • 보안 전문가가 직접 고객사에 파견되어 현장에서 보안관제를 수행한다. 파견관제는 고객사의 특수한 요구나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에 유용하며, 현장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3. 자체관제 (In-House Monitoring):
    • 고객사가 자체적으로 보안관제센터(SOC)를 구축하고 운영한다. 자체관제는 조직 내부에서 모든 보안 작업을 수행하며, 보안에 대한 완전한 통제를 제공한다. 그러나 높은 비용과 운영의 복잡성이 동반될 수 있다.

클라우드(Cloud)

클라우드 보안관제는 클라우드 인프라에 대한 보안을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클라우드 환경은 유연성과 확장성이 뛰어나지만, 그만큼 새로운 보안 위협이 존재할 수 있다. 클라우드 보안관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1. 클라우드 관제 (Cloud Monitoring):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보안 도구와 서비스(예: AWS CloudTrail, Azure Security Center)를 통해 클라우드 환경의 보안을 모니터링하고, 위협을 탐지 및 대응한다. 클라우드 관제는 원격에서 이루어지며, 클라우드 자원의 동적인 특성에 맞춰 보안 정책을 적용하고 관리한다.

 

*원격 관제클라우드 관제의 차이점

  1. 공통점
    • 두 관제 방식 모두 원격으로 시스템을 모니터링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2. 온프레미스(물리적 환경) vs 클라우드(가상 환경) 차이
    • 온프레미스: 물리적 환경에 기반하여 장비를 설치하고 운영하며, 추가로 구축할 경우 장비를 별도로 구입하고 설치하는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하드웨어 호환성 문제나 설치 공간, 전산센터 보안을 위한 보안요원이나 CCTV 등 물리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 클라우드: 가상 환경에서 장비를 실시간으로 생성, 삭제, 변경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유연한 오케스트레이션이 가능하다. 클라우드에서는 물리적 장비 설치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물리적 보안 요건도 온프레미스보다 간소화된다.
    • (오케스트레이션이란 IT 환경에서 여러 개의 시스템, 소프트웨어, 서비스 등을 자동으로 관리하고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
  3. 클라우드의 이점
    • 유연성: 필요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리소스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어 관리가 더 효율적이다.
    • 비용 절감: 물리적 장비를 구입하고 유지보수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보안 관리: 물리적 보안 요소가 줄어들어 관리할 부분이 간소화된다.

 

보안관제 업무 시 활용하는 웹 페이지에 대해 조사

보안관제 업무에서는 다양한 웹 페이지와 툴을 활용하여 위협을 탐지하고 분석한다. 몇 가지 주요 페이지 및 툴은 다음과 같다:

  • KISA Whois(한국인터넷진흥원 후이즈): 한국 인터넷 진흥원에서 제공하는 Whois 서비스, 국내의 IP 검색을 할 때 유용하다( KISA 후이즈검색 whois.kisa.or.kr (xn--c79as89aj0e29b77z.xn--3e0b707e) )
  • Ipconfig(아이피컨피그): KISA Whois에서 찾지 못하는 해외 IP주소를 찾을 수 있다
  • Virustotal(바이러스토 토탈): 구글의 자회사로 파일의 해시값 또는 URL로 바이러스, 웜, 트라이목마 등을 검사해주는 사이트 -> 검사시 해당 파일 검사결과를 공유하게 되기 때문에 개인정보나 기밀사항 등을 검사할 경우 정보가 노출되니 주의해야 한다(https://xn--c79as89aj0e29b77z.xn--3e0b707e/)
  • Zone-h: 해커들이 웹 해킹한 사이트를 과시하기 위해 올리는 사이트-> 사이버 해킹 피해를 검색하기 위해 확인하는 사이트로 사용될 수 있다( Zone-H.org - Unrestricted information )
  • Mozilla Observatory(모질라): 웹페이지의 보안을 시험해주고 보안 취약점과 개선점 등을 파악하여 보고서를 만들어주는 사이트(Mozilla Observatory )
  • Shodan: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를 검색할 수 있는 엔진으로, 특정 IP 대역이나 포트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를 탐지하여 취약한 장비를 확인할 수 있다.( Shodan Search Engine )
  • CVE (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 공개된 소프트웨어의 보안 취약점을 모아 놓은 데이터베이스로, 특정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확인하고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준다.( CVE Website )
  • Wireshark: 네트워크 프로토콜 분석 도구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캡처하고 분석하여 이상 징후를 발견할 수 있다.( Wireshark · Go Deep )

 

출처:

https://maker5587.tistory.com/11

Zero Trust 다양한 IT정보와 보안 이야기 (tistory.com)

‘보안관제’에 관한 모든 것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