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콜은 네트워크 통신 규칙을 정의하는 것이다. 각 프로토콜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며, 데이터를 어떻게 전송할지, 수신할지를 규정한다. 예를 들어, HTTP는 웹 페이지를 요청하고 전달하는 규칙을 정의하고, SMTP는 이메일을 전송하는 규칙을 정의한다.
포트(port)
포트는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프로토콜이 사용하는 통신 채널이다. 각 프로토콜은 일반적으로 특정 포트 번호에 할당되어 있으며, 이 포트 번호를 통해 데이터가 해당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된다.
→ 프로토콜은 특정 포트를 사용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고, 포트 번호는 어떤 프로토콜이 데이터를 처리하는지 번호를 보고 식별 가능하다.
FTP(File Transfer Protocol)
•파일을 송수신 할 때 사용되는 OSI 7계층 프로토콜이다.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기 위해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사용한다.
•암호화가 되지 않아 보안이 취약하다.
제어 채널(control channel)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명령, 제어 등을 담당
-port21
-명령어와 상태 정보가 교환된다.
데이터 채널(data channel)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직접적인 파일 송수신을 담당
-port20
-실제 파일 전송이 이루어진다.
액티브 모드 (Active Mode)
1)클라이언트는 서버의 21 포트로 접속한 후에 자신이 사용할 두 번째 포트를 서버에 미리 알려준다
2)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한다
3)서버의 20번 데이터 포트는 클라이언트가 알려준 두 번째 포트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4)클라이언트가 서버의 요청에 응답한다
액티브 모드 (Active Mode) 특징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보낼 때,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포트로 직접 연결을 시도한다.
•클라이언트의 방화벽이나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설정에 따라, 서버의 연결 시도가 차단될 수 있다.
패시브 모드 (Passive Mode)
1)클라이언트가제어 포트로 접속을 시도한다(패시브 모드 연결)
2)서버에서는 사용할 두 번째 (임의)포트를 클라이언트에게 알려준다
3)클라이언트는 다른 포트를 열어 서버가 알려준 포트로 접속을 시도한다
4)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한다
패시브 모드 (Passive Mode) 특징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데이터 포트로 직접 연결을 시도하여 데이터를 전송 받는다.
•클라이언트 측 방화벽이 서버로의 연결을 쉽게 허용하기 때문에, 현대 네트워크 환경에서 자주 사용된다.
•Passive 모드에선 Active 모드에서 사용한 20번 포트를 사용하지 않고 1024번 이후의 임의 포트를 데이터 채널 포트로 사용한다.
SMTP, POP3, IMAP
•이메일 전송 시 사용하는 7계층 프로토콜이며 각자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메일이 전송된다는 것은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메일을 전송하는 것이 아닌, 클라이언트가 메일 서버로 메일을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수신 또한 마찬가지)
SMTP(SimpleMail Transfer Protocol)
•이메일 전송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서버 간 전송에는 포트 25번, 클라이언트-서버 간 전송에는 포트 587번을 사용한다.
•메일 전송만을 담당하며, 전송 취소나 저장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POP3(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이메일 수신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이메일을 클라이언트 기기로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 후 서버에서 해당 이메일을 삭제한다.
•포트 110번(표준), 포트 995번(보안)을 사용한다.
•오프라인 상태에서 (다운로드 한)이메일을 볼 수 있지만, 여러 기기 간 동기화(읽음/안읽음 상태…)는 지원하지 않는다.
•불편함이 있지만 보안이 안전하다.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이메일 수신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서버에 저장된(기기x) 이메일을 여러 기기에 접근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포트 143번(표준), 포트 993번(보안)을 사용한다.
•이메일 상태를 동기화하고, 여러 기기에서 이메일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다.
•보안에 취약하다.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3계층(네트워크 계층)에서 작동하며, 주로 네트워크 오류 보고 및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오류 및 데이터 도달 시간 등..)
•ICMP는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로, 포트 번호(x) 대신 IP 주소를 통해 송수신자를 식별한다.
•ICMP 메시지는 IP 패킷에 캡슐화 되어 전송된다.
•데이터 전송 전에 연결을 확립하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지 않으며, 연결 설정을 하지 않고 메시지를 전송한다(NO Handshaking)
•Ping명령어활용하여 네트워크의 상태를 진단하고 문제를 해결한다.
•Type과 Code를 통해 메시지를 파악할 수 있다.
ICMP 동작 방식
•IP Datagram Encapsulation: ICMP 메시지는 IP 헤더와 함께 IP 패킷의 데이터 부분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IP 헤더의 protocol 필드는 ICMP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Error Reporting: 오류가 발생하면, ICMP는 오류 메시지를 원본 IP 패킷의 송신자로 반환한다. 오류 메시지는 네트워크 문제를 진단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PingProcessing: Ping 명령어를 사용하여Echo Request 메시지가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호스트에 전송되면, 수신 호스트는 Echo Reply 메시지로 응답하여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정상응답)/ 앞에 과정이 아니고 오류가 나면 오류 메시지가 나온다
ICMP 오류 메시지 종류
•Destination Unreachable: 이 오류 메시지는 IP 패킷이 지정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없을 때 발생한다. 오류의 원인에는 네트워크, 호스트, 프로토콜, 포트가 사용 불가능한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내 잘못)
•Time Exceeded: TTL(Time To Live) 값이 0이 되었을 때 발생하며, 이는 네트워크 루프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패킷 조각화(fragmentation) 과정에서 재조립 시간이 허용된 시간을 초과했을 때도 발생한다.(목적지까지 갔는데 응답을 못 받음_상대 잘못)
•Redirect Message: 이 메시지는 라우터가 호스트에게 최적의 경로를 제안할 때 사용된다. 네트워크 경로를 최적화하기 위해 라우팅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데 도움이 된다.(남의 라우팅을 수정 할 수 있어 악용 될 수 있다)
용도: 장거리 전송이 필요한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 요즘에는 리피터가 홀로 쓰이는 경우는 거의 없고 다른 장비들의 하위 기능중 하나로 통합되어 가는 추세다.
*세그먼트는 경우에 따라서 의미가 다르다. 4계층의 데이터 전송 단위인 TCP-세그먼트도 있고 하지만 여기서는 세그먼트란 하나의 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작은 네트워크들을 세그먼트라고 한다.
허브 (Hub)
역할: 허브는 여러 네트워크 장치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 시켜주며, 리피터처럼 신호를 받아 증폭해 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특징:
단순히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모든 포트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모든 장치가 같은 데이터를 받는다.
트래픽이 많아지면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용도: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 현대의 네트워크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다.
모뎀 (Modem)
역할: 모뎀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특징: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전화선, 케이블, 위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송 매체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DSL 모뎀, 케이블 모뎀 등).
용도: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와의 연결을 위해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된다.
케이블 (Cable)
역할: 케이블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 매체로 사용된다.
특징:
다양한 유형의 케이블이 있다: 동축 케이블, UTP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
케이블의 유형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와 거리가 다르다.
동축 케이블: 중간 정도의 속도와 거리, 주로 TV 및 초기 네트워크에 사용.
UTP 케이블: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적절한 속도와 거리 제공.
광섬유 케이블: 매우 높은 속도와 긴 거리, 데이터 센터 및 장거리 통신에 사용.
용도: 네트워크 장비들 간의 물리적 연결을 제공한다.
(왼쪽부터 동축/UTP/광)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의 장비
브릿지 (Bridge)
역할: 하나의 네트워크 내에서 서로 다른 LAN을 연결하여 네트워크의 크기를 확장한다.
특징:
MAC 주소 기반: MAC 주소를 이용하여 프레임의 전송 포트를 결정한다.
트래픽 제어: 트래픽을 통제하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리피터 기능: MAC 주소 기반으로 리피터 기능을 제공한다.
L2 스위치 (Layer 2 Switch)_필수
역할: 프레임의 목적지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브리지와 리피터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특징:
프레임 전송: 목적지 MAC 주소를 가진 포트에만 프레임을 전송한다.
속도: 하드웨어 기반으로 빠르게 처리한다.
동작 계층: L2 스위치는 다양한 계층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동작하는 계층에 따라 명칭이 변경된다.(숫자가 올라갈 수록 그 아랫번호 스위치의 기능이 업그레이드가 되며 비용이 비싸진다)
허브와 스위치의 차이점
1. Collision Domain
허브: 모든 포트가 같은 충돌 도메인에 속하므로, 동시에 여러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면 충돌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패킷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스위치: 각 포트가 개별적인 충돌 도메인에 속하므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패킷 손실률이 낮다.
2. 속도
허브: 모든 포트가 동일한 속도를 지원한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포트 수에 비례하여 감소할 수 있다.
스위치: 각 포트가 독립적으로 높은 속도를 지원하여, 속도가 거의 동일하게 유지된다.
3. 기본 기능
허브: 모든 포트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이 발생한다.
스위치: MAC 주소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네트워크 효율성을 높인다.
스위치의 기본적인 수행 기능
Learning: 출발지 주소가 MAC 테이블에 없으면, MAC 주소와 포트를 MAC 테이블에 저장한다.
Flooding: 목적지 주소가 MAC 테이블에 없으면, 전체 포트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브로드캐스팅).
Forwarding: 목적지 주소가 MAC 테이블에 있으면, 해당 포트로만 데이터를 전달한다 (유니캐스팅).
Filtering: 출발지와 목적지가 같은 세그먼트에 있을 때는 다른 세그먼트로 데이터를 보내지 않는다 (충돌 도메인).
Aging: 오래된 MAC 테이블 데이터를 삭제한다 (Aging Timer).
브릿지와 스위치의 차이점
브릿지 (Bridge) 스위치 (Switch)
처리 방식
소프트웨어 방식
하드웨어 방식
속도
포트들이 모두 같은 속도 지원
서로 다른 속도 지원
포트 수
적음 (2~3개)
많음 (수십~수백개)
프레임 처리 방식
Store-and-forward
Cut-through, Store-and-forward, Fragment-Free
주요 장점
에러 복구 능력
빠른 처리 속도, 다양한 포트 수
Store-and-Forward와 Cut-Through 방식
Store-and-Forward: 들어오는 프레임을 전부 받아들인 후 에러 검사를 하고, 에러가 없으면 전송을 시작한다. 에러 복구 능력이 뛰어나지만 처리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
Cut-Through: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만 확인한 후 바로 전송을 시작한다. 빠른 처리 속도를 가지지만, 에러를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Fragment-Free: Store-and-Forward와 Cut-Through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으로, 프레임의 일부만 확인하여 에러 감지 능력을 향상시킨다.
3계층 네트워크 계층의 장비
라우터 (Router)_필수
역할: 라우터는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패킷을 경로 설정을 통해 전달한다.
특징:
IP 주소 기반 데이터 전달: 라우터는 데이터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를 확인하고 다음 라우터로 전달하며(패킷 포워딩), 최적의 경로를 통해 패킷을 전달한다.
네트워크 간 연결: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경로 선택 (라우팅):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트래픽을 관리하고 최적화 시키며,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와 효율성을 높인다.
보안 기능: ACL(Access Control List)을 사용하여 특정 트래픽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등의 보안 기능을 제공합니다.
용도: 가정, 사무실, 기업 등 다양한 규모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 인터넷과 같은 대규모 네트워크 연결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적 라우팅 (Static Routing)
정의: 관리자가 수동으로 라우팅 테이블에 경로를 설정하는 방식.
특징:
간단한 설정: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하며, 설정이 비교적 간단하다.
CPU 부담이 적음: 라우터의 CPU 사용량이 적어 효율적이다.
유연성 부족: 네트워크 환경 변화에 따라 경로를 수동으로 변경해야 하므로 유연성이 떨어진다.
고정된 경로: 경로가 고정되어 있어, 장애 발생 시 대처가 어려울 수 있다.
보안 취약성: 중간 경로가 노출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함
용도: 변동이 적고 단순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된다.
동적 라우팅 (Dynamic Routing)
정의: 라우터가 자동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하고 경로를 학습하는 방식.
특징:
자동 경로 업데이트: 네트워크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 경로를 업데이트하여 유연성을 제공한다.
라우팅 프로토콜 사용: OSPF, EIGRP, BGP 등의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경로를 동적으로 결정한다.
복잡한 설정: 초기 설정이 복잡할 수 있지만, 대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하다.
용도: 대규모 네트워크, 인터넷, 기업 네트워크 등 복잡하고 변화가 잦은 환경에서 사용된다.
L3 스위치 (Layer 3 Switch)
역할: 스위치와 라우터의 기능을 결합하여 데이터 링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에서 모두 작동한다.
기능:
스위치의 기본 수행 기능: Learning, Flooding, Forwarding, Filtering, Aging.
VLAN: 가상 LAN을 통해 특정 포트들을 하나의 논리적 네트워크로 묶어 불필요한 트래픽을 차단.
트래픽 체크 기능: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여 효율성을 높임.
라우팅 기능: 라우터처럼 IP 주소 기반으로 데이터를 라우팅.
4계층 전송 계층의 장비
게이트웨이 (Gateway)
역할: 서로 다른 네트워크망을 연결한다. 물리적 장비가 아닌 논리적 장비로,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변환할 수 있다.
특징: 특정 계층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네트워크 형태를 연결할 수 있다.
L4 스위치 (Layer 4 Switch)
역할: 전송 계층에서 동작하며, IP 주소와 포트를 기반으로 스위칭을 수행한다.
특징: 서버나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로드 밸런싱하고, 프로토콜에 따라 스위칭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로드밸런싱: 네트워크 트래픽을 여러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에 고르게 분산시켜 시스템의 성능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스위칭: 네트워크 장비 간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MAC 주소나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올바른 포트로 전송하는 기술
7계층 응용 계층의 장비
L7 스위치(Layer 7 Switch)
포함되는 기능: 네트워크 보안 장비의 역할을 하며, L5(세션 계층)와 L6(표현 계층) 기능을 포함한다.
패킷 분석: 패킷을 분석하여 어떤 데이터인지 식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웹 방화벽 및 보안 스위치 기능을 수행한다.
보안 강화: 이메일의 제목이나 내용, HTTP 요청, URL, FTP 파일명, 쿠키 정보, 특정 바이러스 패턴 등을 분석하여 보안에 유리하다.
정교한 로드 밸런싱: 데이터를 세밀하게 분석하여 정교한 로드 밸런싱이 가능하며,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최적화다.
추가 팁
네트워크 통신을 하려면 각 계층을 통해 캡슐화가 되어 물리적 통신인 케이블로 비트가 전송되는 걸로 아는데 그러면 컴퓨터 내부는 캡슐화를 컴퓨터 내부에서 만들어서 케이블로 전기적 신호를 보내는 건가? ->그렇다. 운영체제와 NIC가 컴퓨터 내부에서 컴퓨터 외부의 각 계층 장비의 역할을 수행한다.(보안전문가를 위한 내용을 다루기 때문에 네트워크단 엔지니어 영역은 일부 필요 내용만 다루니 이 정도만 알고 가자)
7계층 중전송 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으로, 데이터의 전달을 담당한다.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에는 TCP와 UDP가 있다.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연결지향형 프로토콜: 데이터 전송 전 연결(논리적)을 설정하고, 데이터 전송 후 연결을 해제.
높은 신뢰성: 흐름제어, 혼잡제어, 오류검출 기능을 제공.
1:1 유니캐스트 통신: 단일 송신자와 단일 수신자 간의 통신을 지원.(멀티x)
UDP (User Datagram Protocol)
비연결형 프로토콜: 데이터 전송 전 연결 설정 없이 바로 전송.
빠른 속도: 데이터의 신속한 전송이 가능.
1:1, 1:다, 다:다 통신 가능: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지원.
TCP의 특징 및 구조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메시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논리적 경로)
+위 표 정보 외 추가 정보 *송신자와 수신자가 모두 소켓이라고 하는 종단점을 생성 *데이터 손실 등이 있을 경우 재전송 요청을 하므로 연속성있는 서비스에는 부적합 하다. *전이중(full-duplex), 점대점(point-to-point) 방식이다.
전이중 : 전송이 양방향으로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점대점 : 각 연결이 정확히 2개의 종단점(소켓)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TCP 헤더 구조
TCP 헤더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과 흐름제어, 혼잡제어를 위해 다양한 필드를 포함한다.
TCP 헤더의 크기
기본적으로 20bytes
옵션을 포함하면 최대 60bytes
발신지 포트와 목적지 포트 (16비트): 송수신 측의 포트 번호.
port 번호와 함께 IP 헤더에 있는 source/destination address를 이용하여 유일한 식별되는 통신연결을 만들 수 있게 됨
크기는 각 16bit로, 0~65536 사이의 포트번호를 표시한다.
시퀀스 번호 (32비트): 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며, 수신자가 데이터 조립 시 사용.
32bit를 할당받음
이 시퀀스 번호 덕분에, 수신자는 쪼개진 세그먼트의 순서를 파악해 순서 및 도착을 보장
최초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랜덤한 수로 초기화를 시키고 보낼 데이터의 1byte(8bit)당 시퀀스 번호를 1씩 증가시키며 데이터의 순서를 표현
쵀대 4,294,967,296까지 수를 담을 수 있으며, 넘어갈 경우 다시 0부터 시작
승인 번호 (32비트): 다음에 수신할 데이터의 시퀀스 번호.
32bit를 할당받음
연결 설정과 해제 시 발생하는 핸드쉐이크 과정에는 상대방이 보낸 시퀀스 번호 + 1(다음 시퀸스 번호)
실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는 상대방이 보낸 시퀀스 번호 + 자신이 받은 데이터의 bytes
데이터 오프셋 (4비트): 데이터가 시작하는 위치.
전체 세그먼트 중에서 헤더가 아닌 데이터가 시작되는 위치가 어디부터인지를 표시 (옵션 필드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필요한 필드)
이 오프셋을 표기할 때는 32비트 워드 단위 사용. (1word = 4bytes) 이 필드 값에 4를 곱하면 세그먼트의 헤더를 제외한 실제 데이터의 시작 위치를 알 수 있음
4bit를 할당 받음. 0000~1111 범위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0~15 word * 4bytes로 0~60bytes의 오프셋까지 표현할 수 있음. 단, 옵션 필드를 제외한 나머지 필드는 필수로 존재해야하기 때문에 최솟값은 20bytes(5 word)로 고정
예약 필드 (3비트): 미래를 위한 예약 필드.
3bit를 할당받음. 000으로 찍힘
플래그 비트 (9비트): 세그먼트의 속성.
*Flag: 무엇인가를 기억해야 하거나 또는다른 프로그램에게 약속된 신호를 남기기 위한 용도로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미리 정의된 비트를 의미합니다. *패킷: 인터넷 내에서 데이터를 보내기 위한 경로배정(라우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여러 개의 조각들로 나누어 전송을 하는데 이때, 이 조각을 패킷이라고 한다.
SYN: 연결 설정.
TCP에서 세션을 성립할 때(연결) 가장 먼저 보내는 패킷. 시퀀스 번호를 임의로 설정하여 세션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초기에 시퀀스 번호를 보내게 된다.
ACK: 승인 번호 유효.
상대방으로부터 패킷을 받았다는 것을 알려주는 패킷으로, 다른 Flag와 같이 출력되는 경우도 있다. 송신 측에서 수신 측 시퀀스 번호에 TCP 계층에서 길이 또는 데이터 양을 더한 것과 같은 ACK를 보낸다. (일반적으로 +1을 하여 보 냅니다) ACK 응답을 통해 보낸 패킷에 대한 성공, 실패를 판단하여 재전송 하거나 다음 패킷을 전송한한다.
FIN: 연결 종료.
세션 연결을 종료시킬 때 사용되며, 더이상 전송할 데이터가 없음을 나타낸다.
RST: 연결 재설정.
재설정(Reset)을 하는 과정이며 양방향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중단 작업. 비정상적인 세션 연결 끊기에 해당한다. 이 패킷을 보내는 곳이 현재 접속하고 있는 곳과 즉시 연결을 끊고자 할 때 사용한다.
PSH: 즉시 전달.
버퍼가 채워지기를 기다리지 않고 데이터를 받는 즉시 전달하는 Flag. 데이터는 버퍼링 없이 OSI 7 Layer Application Layer의 응용프로그램으로 바로 전달한다.
URG: 긴급 데이터.
긴급한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다른 데이터의 우선순위보다 높여 긴급하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Flag.
NS, CWR, ECE: 혼잡 제어.
전문성이 높고 사용 빈도도 적어 간단하게 혼잡 제어에 사용된다고만 이해하자
윈도우 크기 (16비트): 한번에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 흐름제어의 기능을 담당.
체크섬 (16비트): 오류 검출.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값
송신 측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16bit씩 나눠 Warp Around 방식으로 차례로 더한 값의 1의 보수 값을 체크섬 값으로 지정한다.
수신 측은 데이터를 받아 동일한 방식으로 값을 더해 1의 보수를 취하지 않은 값과 체크섬을 더하여 모든 비트가 1인지 확인한다. (모든 비트가 1이면 데이터가 정상이라고 판단)
긴급 포인터 (16비트): 긴급 데이터의 시작 위치.
일반 데이터 내에서 긴급 데이터가 시작되는 위치 정보
URG 플래그가 1이라면 수신 측은 이 포인터가 가리키고 있는 데이터를 우선 처리
옵션 (가변 길이): TCP 확장 기능.
TCP의 기능을 확장할 때 사용하는 필드들이며, 이 필드는 크기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가변적
옵션을 모두 사용했을 때 옵션 필드의 최대 길이는 40byte다.(->총 20byte+40byte=60byte)
Data offset필드가 옵션 필드의 끝을 가리키는데, 실제 옵션 필드의 끝 < Data offset라면 부족한 부분만큼 0으로 채워야함
대표적인 옵션으로는 윈도우 사이즈의 확장을 위한 WSCALE, Selective Repeat 방식을 사용하기 위한 SACK 등이 있음
약 30개 정도의 옵션을 사용할 수 있음
TCP 연결 방식 (3-Way Handshaking)
TCP는 장치들 사이에 논리적인 접속을 성립(establish)하기 위하여 3-Way Handshaking를 사용한다.
3-Way Handshake의 역할은 양쪽 모두 데이터를 전송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1. SYN 패킷 전송 (클라이언트 → 서버)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기 위해 SYN(Synchronize Sequence Numbers) 패킷을 보낸다.
이때 클라이언트는 SYN_SENT 상태가 되며, 서버의 응답을 기다린다.
2. SYN/ACK 패킷 전송 (서버 → 클라이언트)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SYN 요청을 받고, 이를 수락한다는 의미로 SYN과 ACK(Acknowledgment) 플래그가 설정된 패킷을 클라이언트에게 보낸다.
이때 서버는 SYN_RECEIVED 상태가 된다.
3. ACK 패킷 전송 (클라이언트 → 서버)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SYN/ACK 패킷을 받고, 이를 확인했다는 의미로 ACK 패킷을 서버에 보낸다.
이때 연결이 성립되며, 서버는 ESTABLISHED 상태가 된다.
이제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TCP 연결 해제 방식 (4-Way Handshaking)
반대로 TCP 연결을 종료하는 과정은 4-Way Handshake로 이루어진다.
1. 클라이언트 → 서버: FIN 패킷 전송
클라이언트는 연결을 종료하고자 할 때 FIN(Finish) 플래그가 설정된 패킷을 서버에 보낸다.
이때 클라이언트는 연결 종료를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2. 서버 → 클라이언트: ACK 패킷 전송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FIN 패킷을 받고, 이를 정상적으로 받았다는 의미로 ACK(Acknowledgment) 패킷을 클라이언트에 보낸다.
서버는 CLOSE-WAIT 상태가 된다.
3. 서버 → 클라이언트: FIN 패킷 전송
서버는 연결을 종료한 후, 클라이언트에게 FIN 플래그가 설정된 패킷을 보낸다.
4. 클라이언트 → 서버: ACK 패킷 전송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FIN 패킷을 받고, 이를 확인했다는 의미로 ACK 패킷을 서버에 보낸다.
클라이언트는 일정 시간 동안 TIME-WAIT 상태가 되어 서버의 재전송 패킷을 기다린다.
5. 서버: 세션 종료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ACK 패킷을 받은 후 소켓을 닫고, 두 TCP 간의 세션이 종료된다.
6. 클라이언트: TIME-WAIT 상태
TIME-WAIT 상태에 있는 클라이언트는 일정 시간 동안 세션을 유지하며 도착하지 않은 패킷을 기다린다.
서버에서 FIN을 전송하기 전에 전송한 패킷이 늦게 도착할 경우,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FIN을 수신한 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기본 240초) 세션을 유지하며 잉여 패킷을 기다리는 TIME-WAIT 상태에 머물러 데이터 유실을 방지한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클라이언트도 소켓을 닫고 세션을 완전히 종료한다.
TCP 재전송과 타임아웃
클라이언트는 일정 시간 내에 서버의 확인 응답(ACK)을 받지 못하면 패킷을 재전송하여 데이터 유실을 방지한다.
재전송: 데이터 전송 후 응답 패킷 미수신 시 재전송. 타임아웃 (RTO): 응답 패킷 대기 시간. 너무 짧으면 재전송, 너무 길면 속도 저하.
패킷 전송 및 확인: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고, 서버는 이를 확인(ACK)하는 응답 패킷을 보낸다.
타이머 시작: 클라이언트는 패킷을 전송한 후 타이머를 시작한다. 일정 시간 내에 서버로부터 확인 응답(ACK)을 받지 못하면 타이머가 만료된다.
패킷 유실 감지 및 재전송: 클라이언트가 타이머 만료를 감지하면 해당 패킷이 유실된 것으로 간주하고 동일한 패킷을 다시 전송한다.
서버의 응답: 서버는 재전송된 패킷을 수신하고, 이를 확인하는 응답(ACK)을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보낸다.
타이머 초기화 및 재시작: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으면 타이머를 초기화하고 다시 시작한다. 이는 다음 패킷에 대해 동일한 과정을 반복한다.
UDP의 특징 및 구조
데이터를 데이터그램(독립적인 관계를 지니는 패킷) 단위로 처리하는 프로토콜(논리x)
+위 표 정보 외 추가 정보 *흐름제어(flow control), 오류제어, 손상된 세크먼드의 수신에 대한 재전송 X *포트들을 사용하여 IP 프로토콜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요청 또는 응답이 손실된다면 재전송 없이 단지 타임아웃 처리되고, 다시 시도하면 된다. *코드가 간단하고 초기설정이 TCP와 비교하여 적은 메시지를 요구한다. *연결 자체가 없어 소켓 구분이 없고, 소켓 대신 IP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UDP 헤더 구조
UDP는 단순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계되어 헤더가 간단하다.
UDP 헤더의 크기
8bytes
발신지 포트와 목적지 포트 (16비트): 송수신 측의 포트 번호. 길이 (16비트): 헤더와 데이터의 총 길이. 체크섬 (16비트, 선택적): 오류 검출. TCP와 달리 필수는 아님.
체크섬은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TCP와 달리 UDP는 오류 복구 기능을 제공하지 않아 오류 검출 후의 처리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담당해야 한다.
UDP 통신 방식
수신자의 수신 여부 확인 없이 데이터 전송.
빠른 데이터 전송이 필요할 때 유용.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지원.
결론(TCP와 UDP의 용도)
TCP는 신뢰성이 중요한 웹 페이지 로드, 이메일 전송, 파일 전송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UDP는 실시간 스트리밍, 온라인 게임, VoIP 등 빠른 데이터 전송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현대 IT 환경에서 중요한 '클라우드 컴퓨팅'과 이를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핵심 역할인 '데브섹옵스 엔지니어'에 대해 알아보자
1.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클라우드 컴퓨팅은 필요한 컴퓨터 자원을 필요할 때마다 필요한 만큼 빌려서 사용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필요할 때마다 자동차를 렌트하는 것처럼,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필요한 서버, 저장 공간 등의 컴퓨팅 자원을 빌려 사용하는 것이다. 이런 방식을 통해 자원을 직접 구매하거나 유지보수할 필요 없이 필요한 만큼의 자원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다.
2. 클라우드 컴퓨팅의 유래: 아마존 웹 서비스 (AWS)
블랙 프라이데이와 AWS
아마존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개발하게 된 배경 중 하나는 블랙 프라이데이와 같은 대규모 쇼핑 이벤트에서 발생하는 엄청난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필요성 때문이었다.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이러한 급증하는 트래픽을 감당하기 어려웠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방대한 서버 인프라를 구축하다. 그러나 이런 서버 인프라는 일 년 중 대부분의 시간은 활용되지 않고 방치되어 자원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아마존은 탄력적이고 유연한 클라우드 기반의 서버 인프라를 개발하게 되었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기업들은 필요할 때에만 필요한 자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비용 절감과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했다. 따라서, 아마존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시작으로 급격히 발전하게 되었고, 이후 AWS의 S3와 EC2 서비스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의 시대를 열게 된 것 이다.
3.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의 차이점
온프레미스(on-premises): 기업이 자체적으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킹 등의 IT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방식. 모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는 기업의 물리적인 공간 내에서 관리된다.
클라우드(cloud):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가 원격 데이터 센터에서 가상화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IT 리소스를 제공.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필요한 만큼의 리소스를 빌려 사용할 수 있으며, 유연성과 확장성이 높다.
4.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뉜다: -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가상의 서버를 빌려 사용하는 것.(ex:EC2) - PaaS (Platform as a Service):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을 제공받는 것(ex:google app engine) - SaaS (Software as a Service): 이메일이나 구글 드라이브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ex:google workspace, naver my box)
날 것 그 자체에서 점점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이 추가된다고 보면 된다.(IaaS->PaaS->SaaS)
4차 산업 혁명의 발전으로 인해 클라우드 컴퓨팅의 중요성이 한층 부각되고 있다. 기술의 발전과 데이터의 폭증으로 인해 기업들은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해야 한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는 비용 효율성과 확장성을 제공하여 이러한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최적의 해결책으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4차 산업 혁명 시대에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기업의 혁신과 성장을 위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클라우드 보안의 중요성도 더욱 강조되고 있다.
->즉, 데브섹옵스 엔지니어 (DevSecOps Enginer) 의 중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6. 데브섹옵스란 무엇인가?
데브섹옵스의 정의: 데브섹옵스(DevSecOps)는 개발(Development), 운영(Operations), 보안(Security)을 통합한 접근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운영 과정에서 보안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방법론이다.
데브섹옵스의 필요성: 빠른 개발 주기와 빈번한 릴리즈가 요구되는 현대 IT 환경에서 보안을 강화하고, 보안 위협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필요하다.
7. 데브섹옵스 엔지니어의 역할
역할과 책임 - 보안 자동화: 코드 작성부터 배포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보안이 자동으로 적용되도록 한다. - CI/CD 파이프라인 보안: 지속적 통합/지속적 배포(CI/CD) 파이프라인에서 보안 검사를 자동화한다. - 취약점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인프라의 취약점을 식별하고 수정한다. - 보안 모니터링: 운영 중인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이상 징후를 감지한다. - 보안 정책 수립: 기업의 보안 정책을 수립하고 준수 여부를 점검한다.
8. 데브섹옵스 엔지니어가 사용하는 도구
- CI/CD 도구: Jenkins, GitLab CI, CircleCI - 보안 스캐닝 도구: Snyk, Black Duck, Checkmarx - 모니터링 도구: Prometheus, Grafana, ELK 스택 - 인프라 관리 도구: Terraform, Ansible, Chef
9. 클라우드와 데브섹옵스의 결합
- 클라우드 인프라의 유연성: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자원을 필요할 때만 사용하고, 필요 없을 때는 반환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 데브섹옵스의 민첩성: 데브섹옵스는 개발, 운영, 보안을 통합하여 빠른 개발과 안전한 배포를 가능하게 한다. ->보안 강화 클라우드와 데브섹옵스를 결합하면 보안 위협을 사전에 차단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10. 결론
클라우드 컴퓨팅은 현대 IT 환경에서 필수적인 기술이며, 이를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해 데브섹옵스 엔지니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83년에 멈첬다면 40만명대는 유지 했을 듯 ->인구학적 관점이 부족했던 과거 인구정책의 결과 그래도 우리나라는 남아선호사상은 없어진 편이라 다행
30년후는 어떤모습? ->2년마다 100만명씩 인구가 줄어들것 지금 태어난 아이들의 숫자만 봐도 30년뒤 인구 역시 정해진 미래다
만인은 평등하지만 , 인구감소의 영향은 평등하지 않다 생산과 소비의 기본단위 인구 -부정적(국민연구 지속가능성이 떨어진다...) -긍정적(인구 줄면 좋지 않나?) 여론은 부정적인게 좀 더 많은듯
{일본의 세대차이 -노인교수-인구고령화가 일본의 저성장의 주된 원인 -젋은 교수-관계 입증이 어렵고 일본의 저성장은 선진국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현상
노인교수 -일본의 고도성장을 맛 본 세대+고도성장시에 교수 됨 -일본의 미래는 암울하다
젊은 교수 -교수가 된 시점 이미 저성장 단계에 진입한 뒤 -저성장이라고 삶의 질이 나빠진것도 아님}->우리나라 찬반과 비슷함 -경기가 침체될 것이다(역삼각형화) -일본의 인구크기와 연령구조가 경제를 좌우할 만큰 크게 변화하지 않았지만 변화의 속도가 더 빨라져 사회보장제도가 정상적 작동이 불가해 국가부채를 감당못하고 경기침체 가능성이 크다 ->지금까지는 인구 이외의 요소가 경제에 더 중요했다면 인구고령화와 저출산이 가속화 되는 지금부터는 인구 요소의 중요성이 커질 것
부정-연령대 있는 사람 긍정-젊은 층
글쓴이 입장에선 부정적 ->((1)변화의 속도가 너무 빨라 적을할 시간이 없다+(2)인구감소의 영향이 모두에게 공평하지 않다)<-수도권 인구집중이 기저
(1) -고령인구 비중 -물론 기대수명이 높아진것도 있음 -10%->20%이 우리나란 급격함->적응 할 시간이 없다(ex 임용대란) -삶에 심대한 타격
(2) -평등하지 않다 -초저출산으로 인구감소는 특정연령,특정지역,특정산업, 특정재화에 차별적 영향 -신생아 사업은 그리 큰 시장이 아니라 이 산업에 종사하지 않으면 공감하기 어렵다 -신생아 사업이 살아남기 위해 부가가치를 높일텐데 이러면 신생아와 부모에게 피해가 가게 된다 -지방대학의 차별적
사회저출산을 걱정하는 사람<안하는 사람인 경우 대책내기가 어려워 사회적 양극화가 심화될수있다
인구가 경제나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지 않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임계점을 넘어서면 어렵고 사회 구성원의 삶으 ㅣ질에 악영향을 준다 임계점을 찾아야하는데 우리나라는 다다른 것이 분명하다
학생 수가 줄어도 대학 가기 어려운 이유
심리적요인=인서울 서울 4년제 대학의 입혁경쟁률은 8->5이지만 여전히 경쟁률이 치열하다 지방은 3:1정도니
사교육 걱정이 없어지는 날은 인서울의 로망이 사라지지 않는 한 아무리 학령인구가 줄어도 가능 할 것 같지 않다
200조가 들어간 저출산 대책, 왜 효과가 없을까?
잉태~고등학생=양육비인데 양육비 부담으로 양육부담을 덜어주는 주거,고용 등 인구정책예산을 했지만 정작 돌봄시설이나 보육료 등 아이를 키우는데 직접 투입되는 예산은 늘지않았다.
근접요인 -만혼->아이를 출산하는 기간이 줄어들어 출산율이 낮아진다 우리나라는 가임기 여성이 나이가 적을 수록 출산율이 높아진다(혼후임신) 혼인과 출산시기를 앞당기는 방법은 있연 좋고 그것보단 생물학적 연령이 높더라도 건강하게 아이를 낳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관련된 정책을 강화
-비혼 생애미혼율-만49세까지 결혼을 안한 사람의 비율 여성들의 자발적 비혼 선택 경향이 남성들보다 강해져->여성의 비혼율이 남성보다 빠르게 증가 왜 남성보다 강해졌는가?->여성의 삶의 질 및 처우 개선, 성평등 이슈 사회적 지위와 가정에서의 지위 떨어지는 출산율을 막알 줄 수 있는 것은 가정내 성평등 원거리요인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여성 수입 향상/ 청년 일자리 부족/ 사교육비/ 주책가격 등
코호트 가설: 지금의 삶과 과거 청소년기 삶을 비교해, 직슴의 삶이 더 나으면 결혼하고 아니면 미루는 경향이 있다. 부모세대:무에서 시작한 우상향의 삶
자녀세대: 유에서 시작으로 인한 눈높이(양육비, 사교육비(부모의 교육수준이 영향을 미친다))+주거비용+취업난 완벽한 부모 신드롬 결혼을 하지 않고 자유롭게 아이를 가지는건?->그게 주 문제(결혼여부)가 아닌 준비여부가 더 중요하다
가정과 사회의 기존 관행 및 경제적 문제가 중첩돼 결혼과 출산을 막고 있다
그럼 보육환경+양성평등+수도권이외의 출산을 꺼리는 이유?->충분조건 근본적인 원인 필요조건은 무엇일까?->수도권 밀집현상
인간 본성에서 찾아본 초저출산의 원인
지방대학의 몰락은 '지방'이라 더 심각하다 -지방의 대학은 경제의 한 축이다 -청년 인구의 수도권 집중이 계속되면 수도권의 실질적인 주택수요는 늘어나고지역수요는 줄어들게 된다->투자는 수도권 집중
군대 입대하기도 빡세다? -서울이나 수도권을 원하기에
저출산이랑 수도권 집중현상의 연관성
밀도가 높으면 생존 욕구가 자극된다 -맬서스: 인구는 기하급수로 증가하고 식량은 산술급수로 증가해 인구증가는 곧 거대한 재앙을 불러올 것이다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 생존 재생산 -다윈과 멜서스의 공통점:자원한정/공간의 밀도가 개채당 쓸 수 있는 자원의 양을 결정한다/공간이 한정돼 있는데 개체 수가 급증하면 조절이 일어난다/종들은 살아남기 위해 서로 경쟁한다/이때 본인의 생존 본능이 후손 재생산 본능에 우선=경쟁이 심하면 재생산을 줄인다
청년세대를 옥죄는 물리적 밀도, 심리적 밀도 현재 한국을 보고 다윈과 멜서스의 반응 -멜서스:한국은 전쟁중인가? -다윈:경쟁완화하는 적응과정 ->두 사람 모두 경쟁이 완화되거나 나와 내 자녀가 누릴 자원이 충분하다 생각하면 인간의 본성인 재생산을 할것이다(두 사람의 의견) =동종->같은 사람들이 빠져 나갈 수 없는 같은 공간(서울)에서 지낸다면 당연히 경쟁이 치열해지고 생존이 우선 될 수 밖에 없다 =인구밀도가 높을수록 미래지향적ㅇ니 성향이 짙으며, 출산을 하지 않을 경향이 강하다
인구밀도를 너무 부정적이게 보는 게 아닌가?->인구편중도:각 나라에서 가장 큰 도시라고 할 수 있는 곳에 전체 인구의 몇퍼센트가 있는지 산출 인구밀도가 높아도 편중도가 9.27%미만이면 합계출산율이 감소하지않았다 편중도가 27%이상이면 영향이 매우 커진다/16.2%이상임녀 영향이 증폭된다 이 현상은 청년들이 선택할 도시가 얼마나 있는지 설명한다
초저출산의 기저 원인에는 인구밀도/인구편중이 있다. 생태진화론-한국청년들의 적응=사회적 유전자의진화
그외 지역은 밀도 낮은데 왜 저출산?->인구편중이 만들어낸 심리적 지향점 인구편중은 수도권과 차이나는 지역의 인프라를 보여준다->청년들에게 심리적 불안감 청년들에게 양질의 일자리와 아이를 키욺수 있는 보육 인프라와 문화의 장 필요 주변 친구들이 서울로 떠나면 심리적 불안감
어떤 분산을 추진할 것인가?
과거 노무현 정권-세종시/혁신도시 ->인구분산에는 효과 없었다=공기업 근무하는 사람들은 이주했으나 서울에 살던 청년들은 이주하지 않았다. 이유 -혁신도시 지역간 안배를 생각해 10개로 조갰다 -쪼개다 보니 사람들을 끌어당길 도시의 기능이나 규모를 갖취지 못했다 (+건축학관점: 지역 특성없이 서울을 모방했다)
그럼 어떻게 하는게 올바를까?예 -쪼갤것이냐 -몰아줄것이냐
분산과 조금 다른 메가시티-부울경-분산정책보단 효과가 클수도 적당한 경쟁도 필요하니 너무 분산으로 갈필요는 없다 ->서울에 비견할 지역의 도시를 세우자
10년 완충지대 차별적 영향력-어린이 관련된사업들 -아이를 낳으라는 정책 뿐만이 아니라 관련 사업들도 지원이 필요하다/시장을 버티기 위해선
합계출산율이 1.0이라 하더라도 여성인구에 따라 태어나는 수가 다르다 현재 2019년에 비해 2026년 자녀를 낳는 주요 연령층 29~35 여성의 수가 223만 명에 이르고 그 후는 줄어들것이라 것이라 예측된다->10년 정도는 출생아 수20만명대가 유지는 될 수 있다 그래도 2030년이 2020년보단 많을 예정/문제는 그 이후 상황이 좀 괜찮아진다고 가정하고 예측해봐도 출생아 수는 줄어들 예정이다. 그래도 20년은 유지 가능성이 있다.->10년의 완충지대
다양한 해법을 찾자
출산율리 0을 향해 달려간다-사회의 경향성 1990년대 한국- 25~26/미국 다양함 특정시기에 몰린 이유-사회의 결혼적령기
출산을 장려하는 것보단 예측하고 준비 뭘? 15년 동안 태어날 아이들이 물리적,심리적압박속에 살지 않게 해주기
변수가 되어 버린 우리나라 인구 소멸을 걱정하는게 아닌 상수가되지 못한 변수라는 점을 염려하자 변수인 인구를 고려하여 미래를 대비하자
1번 표-4차산업혁명 발전에 기대 거는 이유 2번-자원의 총량이 높은수준에 올라있고, 인구는s자다 3번-총량은 정해져 있는데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여 총량을 ㄴ머어선다->경쟁 심화 되고 ->인구가 감소한다->자원이 증가->균형을 찾아간다 4번-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바람에 가용자원이 갑자기 줄어들고 그결과 삶의 질이 나빠져 인구도 급감하는게 가장 안좋다
현재 우린 3번의 경우->요동치는 변수가 되어 사회적 혼란을 불러오고 변화를 요구하게 된다=인구가 안정적인 상수가 될 수 없다
이상적 방법은 제도가 준비되고 인구변동이 일어나야하는데 우린 그 반대 인구가 변수가 되면 정부 정책은 물론이고 기업의 전략도 인구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인구는 현재의 사회제도와 전략의 지속가능성을 알려주는등대가 될 수 있다.
미지의 미래를 기지의 세계로 바꾸는 인구학적 관점 인구의 특징으로 미래를 알려줄수있다-대비할 수 있다(ex 수능응시생->대학교대비)
인구로 미래를 대비하는 전략: 완화,적응,기획 통계청을 활용하자
완화 -현재 및 가깝ㄱ고 먼 미래의 모습이 너무 부정적이어서 감당하기 어렵다고 판단될 때 그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하거나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것 -개인보단 국가나 지방정부 등 공공의 역활이 중요 -기업이 의무는 없는데 직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는추세, 정부의 정책보다 더 큰 완화효과를 가져온다 -esg경영전략을 하는 기업이 많아지는추세에 양육비 및 보육환경에 대한 세심한 배려는 훌륭한 사회적 책임이다
적응 -인구가 바꿔놓을 미래의 모습을 가능한 정확하게 예측하고, 현재 상황이 변화될 미래에도 잘 작동할지 아닐지 판단해 필요한 경우 현재의 조건들을 변화시키는 것 -개인 공공 모두 필요 -구체적인 변화를 알아야한다
기획 -완화와 적응처럼 수동적이지 않고 적극적 -미래 인구현상을 적극적 활용해 새로운것을 제시 -완화와 적응 전략을 세우면 새로운 기획을 도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략의 대상이 되는 문제 해결에만 집중하는 일이 종종발생(영유가 줄고 노인 많아지니 유야시설 줄이고 노인시설로 바꾸자) -출산장려금->완화 적응 전략 -기회는 적응과 완화와 달리 변화를 이끈다 -모두가 준비
교사-다운사이징(완화)가 아닌 분업(기획)은 어떠한가?
인구문제:저출산, 고령화->개별인구 문제 개별인구 감소중=/=주택수요 감소->독립가구 증가= 가구 수 증가 시장이나 국가정책의 관점에서는 인구보다 가구가 중요한 경우가 많다
가구 수의 변동 2000~2019개별로 분화하는 가구가 많았다 2020년 부터 인구는 감소하기 시작했으나, 가구는 당분간 증가할 예쩡 시장에 주는 시사점->가구가 소비의 단위가 되는 재화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있다
인구다양성-인구를 이루는 축이 다양해질수록 높은 다양성 성/연령/인종 등 -다양한 연령대가 한 사회에 골고루 분포할수록, 인종이 다양할수록 사회의 다양성이 높다. -살아가는 조합의 형태가 다양해질수록 다양성이 높다
가구의 다양성 가족vs가구 1인가구의 증가 젊은 층은 만족도가 높을지 몰라도 노인은 어쩔수없는 빈곤으로 좋지 못하다->즉 이질적 특성이 있다
라이프 세그먼트
세대에 대한 높은 관심 기대수명의 증가 -세대들의 공존 기간 증가 -커뮤 증가 -의견충동 부모와 자녀세대가 함꼐 산 기간이 늘어난 첫 세대가 베이비부머와 밀레니얼 세대 세대 이해는 다른 세대와의 관계 속에서 파악
세대 구분의 기준 합계출산율 출생아 수 대학 진학률 및 입시제도 취업시기의 경제 이슈 여성의 대한 진학률 및 취업률 연령별 혼인률 청소년기에 누렸던 대중문화 기술환경의 변화
세대구분 세대명/역사적 사건/인구사회학적 특징 산업화세대 베이비붐1-경제 베이비분2-정의 x세대-대중문화시대/여성 교육수준 급상승 밀레니얼세대-1인가구 증가/여성이 대학 진학률이 높은 z세대-초저출산, 가국분화 증가
베이비붐세대55~74 1세대 -높은 합계출산률, 높은 영아사망률 -경제 성장의 주역 2세대 -정치변동 주역 -정년 연장 혜택 가능성 동아시아의 성장(유교 개발독재 덕) 후 정치 자유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밀레니얼 세대 -1986년생 -초등학교 -남아선호 정점 -아이폰 보급 -게임규칙 중시 -공정성=규칙이 모두에게 적용하여 내가 피해를 보느냐가 중점
z세대 97~ -부모의 연령대 다양 -전세계 문화적 동질감 -글로벌 동질성 -국내 인구비중은 작으나 25년부터 세계 노동시장의 가장 큰 인구집단이 됨 -z세대가 만들어 놓은 새로운 노동과 부가가치의 영향을 받게 될 ㅓㅅ임
렉시스 다디어그램 가로-연도 세로-연령 대각선-코호트 장점:세대별 코호트의 대각선을 따라가다 보면 소비의 관성이 어디가지 지속될지 예측할 수 있으며 규모도 알 수 있다
세그먼트 변화 1인가구-밀레니얼과 젊은 x세대가 로랜기간 소비시장에서 큰손 작용 다인가구-여전히 가장 빈도가 높은 가구 형태,1인보단 소비지출이 크다/트렌드에 민감하지 않고 꾸준함 부부가구-베이비붐 세대:자녀 분가 이후 소비 형태 주거지 변화 가능성'
인구변화를 수로만 본다면 미래ㅐ에 필요한 전략을 마련 할 수 없음 인구집단마다 정성적 특성과 가구변동에 대한 이해가 필요
초저출산에 대한 불안 인구소멸-비현실적 인구감소로 경제 악화 두려움-타당함
인구배당 인구 오너스:자원의 양<소비하는 사람으로 경제에 부담 인구 보너스:자원을 만들어내는 사람이 많아 경제에 도움 인구배당:인구으 ㅣ질이 좋아서 부가가치의 양이 크게 늘어나서 경제성장-교육과 건강등 인적자원 개발에 투자 결과
인구보너스vs인구배당 -보너스는 인구의 양적인 측면 강조 -배당은 인구가 건강하고 교육을 잘 받았다는 인적자원으로서의 측면 강조 -때 되면 받는 보너스보다는 성공투자로 얻게되는 배당의 액수가 크다
두번의 인구배당 모든 통계분석에서1인당 gdp를 높인 변수:주요 생산이구의 비율과 그들의 평균 교육시간 1995년까지 고등 교육을 받은 고급인력이 경제발전을 견인하고 부양인구는 줄어든는 인구 배당-1차인구배당+보너스도 강함 외환위기의 역설-베이비붐 세대가 생산인구로 들어와 단기간 외환위기를 극복했다 외환위기 이후 경제는 재성장 동시에 부양 대상인 고령인구 비중 급증 그럼에도 삶이 좋아진 건 2차 인구배당 덕분
2차 인구배당 교육열과 교육에 대한 사적인 투자는 양질의 인적자원을 양성하게 됨 인구의 크기 보다는 질이 자본축적을 이끔 일하고 질적인 특성이 양적 축소가 경제에 가져올 부정적인 효과를 상쇄할 것
인구배당 지속 근거? 2020년대까지 노동시장에서 활동할 50대들의 높은 교육수준 퇴직 인구 수는 변화가 없는데 교육수준은 높아지고 있는 건 사실
인구오너스의 위험과 공존의 전략 2030년 이후 경제활동 인구가 대거 축소하고 고령인구 증가-인구오너스 인구감소는 정해진 미래이지만, 어떤 인구가 있느냐가 더욱 중요 공존의 전략-서로 다른 인구집단이 자원을 활용해야 하는 시기를 달리 해서 서로의 생존 가능성을 극대화 하는 것. 서로 양보하며 자원을 동시간에 함께 그러나 나눠서 적게 쓰는 상생과 다름
인구압박 1.자원보다 인구가 많을때 2.어떤 연령이 다른 연령 혹은 연령 집단에 비해 얼마나 크거나 작은지를 나타내는 개념
과거에 비해 인구압박의 강도가 높아짐
대학진학률을 고려해 인구압박을 산출하면,대졸 30세가 받는 압박 강도는 20년에 비해 훨씬높다
인구압박이 있는 한 취업은 어렵다 노동시장에 먼저 진입해 버티고 있는 앞 세대의 규모를 무시할 수 없기에 모든 연령이 비슷하면 -.인구가 주는 압박이 사라짐
일본의 사례 구인난으로 전환 1.인구학적 원인-대졸자 감소 2.중소기업에 대한 낮은 거부감 3.경쟁력 있는 제조업/한국은 서비스업 위주-대체가 가능하다
우리도 경제규모가 수축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30년정도면 구인난이 오긴 할거다
연령계층화:사회적 자원이 특정 연령층에 더 많이 분배되는 현상 한국-정년 다 못채워 연금x/부동산 부채/노인빈곤율 최상 연금 지속가능성 부과식vs적립식 스웨덴 부과식 가능한 이유 인구각 일정 ->나 스스로에 달려있는 나의 노후
생산인구 부족 과학기술이 해법? -과학기술의 발전이 일자리르 줄여왔으므로 인구의 필요성도 감소 -그러나 과도기를 사는 우리-언제 적용될지 모르고 어떤 분야에 적용될지도 모름
이민 기술적으로 가능한일 -외국인을 받으면 단기간 인구피라미드에 균형ㅇ르 가져올 수 있음 인구변동단계설 1단계:개인과 사회적 웰빙 수준의 급상승 2단계:반드시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 출산할 수 있게 되는 단계/프랑스-civi union 3단계다른나라의 젊은 인구 유입 고령화 초저출산 겪은 선진국 중 타격을 입은 국가는 일본뿐 서유럽-동유럽,북아프리카 중동 젊은이 유입 미국-히스패닉 동양인 이주민 유입
한국의 이민은? 현실성있는 대안 현재도 다양한 분야에 외국인 의존도 높음 지금 당장은 생산인구가 줄어들지 않기 때문에 30년부터 생산인구 절벽때 시작하자 대비하자
정년연장 정년이 연장되면 인구절벽 시점도 연기될 것 고령자들이 먼저 쓸 수 밖에 없는 기금에 부담을 덜 주기 위해서 청년들이 가파른 세금 인상 없이 유지하기 위해서 일자리를 뺐는 현상이 있을 수 도있다-대처준비 필요
한국은 이주민에게 매력? 외국인공포증 언어 임금수준도 경쟁력 없음 차별 ->이런 문제를 고쳐 매력을 높이자
결론은 내국인을 대상으로 노동시장의 구조를 바꾸어 인구절벽 시작 시점을 뒤로 미루고, 그사이에 외국인의 이주 혹은 다른 대안을 준비하는 것이 현실적인 공존전략 국내에 출생한느 외국인 아이들에게 더많이 신경 z세대 -세계화노출인 높고 -국격으미가 없으며 -위세대보다 열려있지만 아직 민족주의적이긴 하다
정년연장->기업이 싫어할수도있다
인구학적 상상력의 요소 1.인구통계 -인구에는 방향성 존재 -메가트랜드:거시적인 사회와 시장 변동의 방향성 -언제 어떤 인구가 얼마나 될지를 안다면 대비 가능
2.판단의 기준을 미래로 -미래 세대의 관점에서 현재 제도와 정책들을 평가 -기성세대보다 청년들의 시각과 견해 더 주용이 필요
3.관념의 자유 -한국의 인구변동은 전례없는 것(너무 심각해서) -초저출산 적응 과정은 세계의 참고사례가 될 것
무엇을 해야 할까? 복지가 아닌 투자 관점 전환 양적 팽창이 아닌 질적 성장 준비 -아동에 대한 질적투자로 사횢거 부를 이전 작아지는 사회에 맞는 체질 만들기 -기업의 노하우와 민첩함 필요 -다운사이징 준비 -재도약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