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적 가설검정의 절차 1가설설정 2유의수준(1종오류를 범할 확률)과 임계치 결정 3.귀무가설의 채택영역과 기각영역의 결정 4통계량 계산 5통계량과 임계치의 비교 및 결론
유의수준0.1~0.01 사이면 2종오류 발생확률이 있을 수 있다
품질경영 전통적 품질관리(QC)- -사후적 좋은 품질 만들어지는지 검사 및 관리 현대적 품질경영(QM) -소비자 또는 사용자 중심 -사전적 계획
품질의 의미 전통-사전에 정의된 규격에 적함/생산자 입장 현대-고객 및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소비자 관점+생산자 관점
제품/서비스 수명주기 단계 -요구품질:고객의 요구를 얼마나 잘 인식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품질 -설계품질: 설계가 수행하기에 적합한지 나타내는 품질 -제조품질: 제조된 제품이 설계기준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 -사용품질:고객이 원하는 목적과 용도에 제품이 얼마나 적합하는지
품질경영의 목적 -품질비용의 최소화(예방비용, 평가비용, 실패비용)
품질경영의 효과 -제품자체의 품질 향상효과 -내부시스템의 품질 향상 효과-재작업 및 정체시간의 감소 효과/재고 감소
품질검사의 분류 -전수검사(머신) -파괴검사(마네킹으로 안전검사) -소비자 의견 조사(설문조사) -표본추출검사(반도체)
공정관리도 배경:표본추출 검사의 한계->불량 판정은 가능 하지만 원인 추출은 불가능 원인: 품질문제의 근본 원인-> 품질변동 또는 산포현상 -우연원인 -이상원인->통제가 가능한 분명한 요인 기법: 공정관리도->이상원인을 발견하여 공정을 관리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법
1-1생산성의 문제 생산성의 고려-애덤스미스->자유경쟁/분업... 생산성 향상의 개념: 예전에는 얼마 정도 투입해서 업무를 완성했다면 지금은 얼마정도 생산요소 투입 정보기술 자동화기술 운영기술 모두 중요
1-2 산업혁명 -농경사회->(공업화)->산업사회 -주요계기: 200년 전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증기기관,전기) -산업혁명:증기기관-도시의 진화: 전기-3차 산업혁명: 컴퓨터-4차 산업혁명:인공지능 1-3 4차 산업혁명 iot cps ai를 핵심 기술로 4차산업 발생->스마트공장이 핵심적인 역활을 할것으로 본다
CPS 최적의 제어 가능하는 기술=사이버세계와 물리세계가 동기화되게 하는 기술
2. 산업환경과 제조시스템의 변화
2-1 제조환경의 변화 -초고령화->제조업 생산인구 급감->자동화 필수 -제조분야에 대한 업무기피 심화->해외이전 -그럼에도 리쇼어링 분위기 확산(인건비가 싼 국가로 생산기지를이전했던 기업을 다시 국내로 불러들이는 정책) -대량맞춤형->개인화를 통한 다품종소량 생산
2-2 생산관리/제조혁신 방법론의 발전 분업->과학적관리(테일러)->연속적 조립생산(포드 컨베이어 벨트)->통계적품질관리와 경영과학->린생산시스템->유연생산시스템->글로벌 경쟁시대
-과학적 관리(제조혁신의 시초): "시간 연구"와 "동작연구"를 기초로 노동의 표준량 산정+임금 지급 방법 연구/솔선과 격려의 경영/과학=객관적->현대사회에서는 데이터가 중요
-포드생산시스템: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조립작업"과 대량생산 그리고 혁신적 "인적자원경영" 3S 대량생산의 일반원칙->작업의 단순화/부품 표준화/기계와 공구 전문화 작업의 원칙-허리 굽히지 않기/한발이라도 움직이지 않기
2-3 제조혁신의 원동력 -생산시스템: 셀 생산시스템(컨베이어+유연성)/gt 공정보단 제품 중심/jit 다기능 공화 기계설비의 합리적 배치(u자형)/유연생산시스템(fms) 순서 없이 생산/재구성형생산시스템(rms) 재구성이 가능한 기계들과 제어장치
-정보시스템: erp 경영 프로세스들을 통합적으로 연계해 관리/ scm 공급사슬의 통합적 관점에서 관리/crm 판매실적 등 고객과의 관계 데이터 분석/mes 현장의 활동을 관리/ plm 제품 설계부터 최종생산까지 이르는 전체과정을 일관적으로 관리
3. 스마트공장의 개념과 사례
3-1 스마트공장의 정의, 목표 및 요건 -스마트 공장: 비즈니스 전반에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며 유연한 운영을 통합하고 개방을 통해 "고객과 소통하는 공장"/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정보화 및 생산시스템의 "자동화=지능화"를 실현하는 공장 -스마트공장 목표: 생산시스템을 "지능화 유연화 최적화 효율화"를 통해 고객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제조기업을 구현하는 것 -요건 (4m1e: men, machinery, material, method enviroment)의 디지털화 지능화 통합 엔지니어링 지식의 창출 타 스마트 시스템과의 연결
3-2 스마트공장의 범위 -모든 제조 관련 과정을 포함 -일반과정+ICT 기술 및 기업정보시스템의 적용도 포함
axios -자바스크립트에서 비동기로 http 통신을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든 라이브러리 -외부 라이브러리로 별도의 설치가 필요하며 import 또는 require필요 -운영 환경에 따라 브라우저의 XMLHttpRequest 객체 또는 Node.js의 HTTP API 사용 -http 요청 취소 및 요청과 응답을 json형태로 자동 변경 시켜 줌 -백엔드 서버와 프론트엔드 서버 간의 통신으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전송하는데 사용
fetch -자바스크립트에서 api를 연동하기 위해서 사용 -웹 브라우저의 내장 api이기 때문에 별도의 라이브러리 설치 없이 사용 가능(import 필요없음) -백엔드 서버와 프론트엔드 서버 간의 통신으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전송하는데 사용 -josn 변환 과정 필요
flask -백엔드의 전반적인 역활을 해준다 -웹페이지를 인터넷에 띄우고, 사용자들의 접속인 트래픽을 감당하고, 회원들의 정보와 게시판 정보를 관리하는 역활을 도와준다 - API 서버를 만드는 데에 특화 되어있는 Python Web Framework -URL을 파이썬 코드의 함수나 메서드에 매핑할 수 있는 라우팅 메커니즘을 제공
flask 기본 세팅
pip install Flask
from flask import Flask
app = Flask(__name__)
@app.route('/')
def index():
return 'he'
if __name__ == '__main__':
app.run(debug=True)
기본세팅 결과물
• 본인이 만든 파이썬코드 내용을 Flask에 이동시키기
from flask import Flask, request, jsonify
from flask_cors import CORS
from openai import OpenAI
import requests
import json
app = Flask(__name__)
CORS(app) # 모든 출처에서의 요청을 허용합니다.
# OpenAI API 키 설정
client = OpenAI(api_key="")
@app.route('/sendMessage', methods=['POST'])
def send_message():
data = request.get_json()
user_input = data.get('user_input')
try:
# OpenAI에 사용자 입력 전달하여 응답 받기
completion = client.chat.completions.create(
model="gpt-3.5-turbo",
messages=[
{"role": "user", "content": user_input}
]
)
ai_response = completion.choices[0].message.content.strip()
return jsonify({"description": ai_response})
except Exception as e:
return jsonify({"error": str(e)})
if __name__ == '__main__':
print("Flask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습니다.")
app.run(debug=True)
• localhost:5000/sendMessage API 만들기
-위 코드는 '/sendMessage' 엔드포인트에 POST 요청을 받으면 요청의 JSON 데이터에서 'message' 값을 읽어와 성공 응답을 반환한다.
- SSR, CSR이란 무엇인가? - Next.js란 무엇인가? - Next.js 설치 후 사용해보기 - Next 가 버전이 두개가 있다 - /pages - /app - git이 무엇인지? - commit - add - push - pull - github에 Next.js 내코드 올릴 저장소 만들어보기
# 코딩과제
- 레이아웃을 만들어보기 - 가능한 부분은 컴포넌트화 시키기
웹페이지 작동 방식 시기별
static tites -서버가 html파일들을 가지고 있다 클라이언트가 서버 접속하면 html파일을 보내는 방식 -페이지 내에서 다른링크를 클릭하면 다시 서버에서 해당페이지의 html을 받아와서 페이지 전체가 업데이트가 되어야 한다
iframe -문서내에서 또 다른 문서를 담을 수 있는 iframe 태그 도입 -페이지 내에서 부분적으로 받아와서 업데이트
XMLHttpRequest -html문서 전체가 아닌 json가 같은 포맷으로 서버에서 가볍게 필요한 데이터만 받아 옴 -그 데이터를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html요소를 생성해서 페이지에 업데이트 하는 방식
ajax -위 방식을 이용하여 공식적 이름을 가짐 ->SPA -사용자가 한페이지에서 이동하며 부분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만 받아와 업데이트 함 -하나의 앱을 사용하듯 웹사이트에서도 사용성이 조금씩 좋아짐
이런 spa트랜드+ 컴퓨터성능이 좋아져서->여러가지 일을 무리없이 처리 가능+자바스크립트도 표준화가 되어 ->프레임워크가 나와
*CSR시대 -클라이언트쪽에서 알아서 다 하는 것 -서버에서 인덱스라는 html파일을 보내주면 csr에서 사용되는 심플한 html안에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자바스크립트 링크만 들어져있다 -그래서 처음 접속 시 빈화면만 보이고 다시 링크된 어플 자바스크립트를 서버로 다운을 받게 되는데 여기 자바스크립트에는 필요한 로직 뿐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에 소스코드들도 다 포함되어 있다. -그렇기에 사이즈가 커 다운 받는데 시간이 소요된다 -추가로 필요한 데이터가 필요하면 서버에 요청해 받아온 후 이것들을 기반으로 해서 동적으로 html을 생성해서 드디어 사용자에게 최종적인 어플리케이션을 보여준다
단점 -문제점으로는 사용자가 첫 화면을 보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SEO가 좋지 않다-검색엔진이 웹사이트를 돌아다니며 html을 분석하는데 csr을 사용하면 html이 비어져있기에 검색엔진들이 csr로 작성된 웹페이지를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위의 SEO 단점을 보호해주기 위해 *SSR -클라이언트가 모든 것을 처리하는 방식과 다르게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서버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와서 html파일을 만들게 되고 이렇게 잘만들어진 html파일을 동적으로 만들 수 있는 소스코드와 함꼐 클라이언트에게 보내진다 -클라이언트는 받아온 html문서를 받아와서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csr을 사용했을때보다 첫번째 페이지 로딩이 빨라진다 -모든 컨텐츠가 html에 담겨져있기에 조금 더 효율적인 seo를 할 수 있다
단점 -static에서 있던 깜빡임 이슈가 존재(페이지 클릭으로 이동하면 전체적인 웹사이트를 다시 서버에게 받아 오는 것과 동일하기에) -서버에 과부화 걸리기가 쉽다(특히 사용자가 많은 제품일수록 클릭을 할 때마다 서버에 요청해서 서버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가지고와서html을 만들어야 하므로) -(치명적)사용자가 빠르게 웹사잍트를 확인할 수는 있지만 동적으로 제어하는 자바스크립트를 다운받지 못해서 여기저기 클릭했는데도 반응이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TTV(time to view) TTI(time to interaction)
csr은 ttv(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볼 수 있음)과 동시에 tti (클릭을 하거나 인터랙션)이 가능하다 ssr은 사용자가 사이트를 볼 수 있는 시간과 실제로 인터렉션이 할 수 있는 시간이 길다
tip csr:잘제 잘 쪼개서 첫 화면에 사용자가 꼭 필요한 데이터만 먼저 보여지는게 먼지 고민하는게 필요 ssr:사용자가 보고 인터렉션한 시간의 단차를줄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할수있을지, 어떤UI와 UX를 제공할수있을지
*ssg(static site generation) -리액트 같은 경우 csr에 특화되어 있지만 개츠비라는 라이브러리와 함께 사용하면 리액트로 만든 웹어플리케이션을 정적으로 웹페이지를 생성을 미리 해두어서 서버에 배포해 놓을 수가 있다 그리고 이렇게 만든 웹사이트들을 우리가 추가적으로 데이터를 서버에서 받아 오거나 또는 동적으로 처리해야 되는 로직이 있다면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함께 가지고 있을 수 있기에 동적인 요소도 충분히 추가 할 수가 있다
*next.js는 강력한 ssr(서버 사이드 렌더링)을 지원하는 라이브러리에서 요즘은 ssg도 지원을 하고 csr과 ssr을 잘 섞어 유연하게 목적에 맞게 사용되게 도와주고 있다
라우팅 -노드(컴퓨터 네트워크)간 연결되어 통신하는 다양한 경로를 미리 정해진 규칙을 사용하여 최상의 경로를 선택하는 프로세스 -네트워크 통신의 효율성을 높여준다 정적 라우팅 -수동으로 경로를 구성하고 선택 동적 라우팅 -실제 네트워크 조건에 따라 런타임에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고 업데이트
*next 버전 -pages -pages 폴더를 루트 폴더로 사용 -각 페이지는 pages 폴더 내에 index.js 파일로 구성 -url 경로는 pages 폴더의 구조에 따라 결정됩니다. -파일 시스템 기반 라우팅으로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쉽다 -정적 페이지 생성에 적합 -파일 시스템 기반 라우팅을 선호하는프로젝트에 어울린다
-app -버전이 업그래이드 되면서 최근에 새롭게 도입된 라우틴 컨벤션 -컴포넌트 기반 라우팅 사용 -app 폴더를 로투 폴더로 사용 -각페이지는 app/폴더명 폴더에 위치한 컴포넌트로 구성 -컴포넌트 기반 라우팅으로 코드 조직 및 관리가 용이 -레이아웃 구성 및 재사용이 간편 -서버 액션, 파일 시스템 기반 라우팅 등을 지원 -서버 액션을 사용하는 프로젝트